한국방송통신대학/강의록

[교육심리학 교재1장][2강] 인간형성 및 발달의 이해

Goldfish 2015. 9. 4. 17:27

 

 

[교육심리학 교재1][2] 인간형성 및 발달의 이해

 

 

1. 인간이해의 관점

1) 과학적 이해 이전의 관점

*성악설: 인간은 본질적으로 악한 존재다(동양-순자, 서양- 성 아우구스틴(Augustine), 루터, 칼빈(Calvin) )

-심리학적 관점- 정신분석과 관련이 있다.

-정신분석에서 인간을 움직이는 가장 중요한 힘

*성선설: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한 존재다(동양- 맹자, 서양- 루소(Rousseau))

-심리학적 관점- 인본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백지설: 인간은 본질적으로 선악의 평가가 가능하지 않은 백지와 같은 존재이다.

   (동양-고자, 서양-로크(Locke))

-심리학적 관점- 행동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교육적 관점>

*성악설: 교육은 악한 존재인 인간을 올바르게 인도하기 위한 활동

*성선설: 교육은 인간의 선한 마음이 발현될 수 있도록 조력하는 활동

*백지설: 어떤 환경에서 성장하고 발달하느냐에 따라 인간형성 결정

교육은 어떤 모양의 인간을 빚어내기 위한 환경적 조건 

 

<통합적 관점>

인간은 복잡하고 다양한 존재이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심리학적 관점을 동원한다고 하여도

인간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 없다.

 

<로젠탈-제이콥슨 효과>

타인의 기대나 관심으로 인하여 능률이 오르거나 결과가 좋아지는 현상

- 인간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

2. 인간형성의 특징

1) 인간은 여러 가지의 잠재가능성(다양한/무한한)을 가지고 있다.

2) 인간의 형성과 발달은 개인의 구체적 선택에 의해 좌우된다.

- 어느 것(목적, 가치관)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인간유형이 달라진다.

3) 인간의 형성과 발달에는 자발적 활동이 중요하다.

 

<퀴즈> 댓글로 적어보세요

) 성악설, 성선설, 백지설에 대한 여러분의 관점은 어떠한가요?

정미애

어릴땐 성선설이 맞다고 생각했는데 살다보니 성악설, 백지설 어느것이 맞다라기 보단 성선설은 절대 아니다 라고 생각이 옮겨가네요... ㅎㅎ 2015-09-04

이은경

인간의 본성을 어디에 두느냐 인데 아무래도 성악설이나 성선설 보다 백지설에 무게가 더 있다고 생각합니다 선과 악의 기준 또한 인간이 만들어내 기준이기에 그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선도 될 수 있고 악도 될 수 있을겁니다. 그러한 선과악의 기준은 여려 요인들로 인해 만들어지는거라 생각합니다 2015-09-04

김은영

저는 세남매를 키웁니다. 큰아이와 둘째아이는 한살터울이라 그런생각을 못했었는데 셋째가 태어나면서 항상 설명할때 `아기는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와 같다. 그러니 너히들과 엄마가 잘 가르쳐 주어야 한다` 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백지설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사람은 선이 될수도 악이 될수도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