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상식

자아정체감

Goldfish 2015. 6. 6. 10:59

 

정체감

[ , identity ]

개인의 영속성, 단일성, 독자성, 불변성, 동질성에 대한 의식적 감각(conscious sense of individual identity)이나 주관적 느낌이다.

주로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에 따라 정체감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장애 학생의 경우 지나친 실패의 경험은 자신의 정체감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지나친 부정적인 정체감은 학업 및 일상생활에 대한 무력감이나 부적응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교사나 보호자는 장애 학생이 긍정적인 정체감을 갖을 수 있도록 과제의 수준을 조절하여 성공의 경험을 적절히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체감 [正體感, identity]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2009, 국립특수교육원)

 

자아정체감

[ ego-identity, ]

요약
자신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본질적으로 불변하는 실체로 인식하는 개인의 느낌.

자아정체감은 자신에 관해서 통합된 관념을 가지고 있느냐에 대한 개념이다. 자아정체감이 형성되었다는 것은 자기의 성격, 취향, 가치관, 능력, 관심, 인간관, 세계관, 미래관 등에 대해 비교적 명료한 이해를 하고 있으며, 그런 이해가 지속성과 통합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것은 개인의 이상과 행동 및 사회적 역할을 통합하는 자아의 기능에 의해서 이루어진 결과이다. 유아기의 특정한 반응이나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인식 등에서 관찰될 수 있는 신체에 대한 지각, 유아기에 나타나는 ‘나’라는 대명사 사용과 도전적 태도 및 특정한 역할수행 등에서 최초로 자아출현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자아발달의 최종단계를 E.에릭슨은 자아정체감의 발견으로 표현하였다.
에릭슨이 말하는 이 시기는 12~18세의 청소년들로 급격한 생리적 ·신체적 ·지적 변화를 경험한다. 이로 인해 그들은 수많은 충동과 무한한 동경심과 호기심을 갖게 되나, 경험미숙으로 수많은 좌절과 회의, 불신을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의 중심문제는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일이다. 청소년들은 자신이 누구이며, 가정과 사회에서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고자 한다. 또한 타인의 눈에 비친 자기는 누구인가에 심각한 관심을 보인다. 자아정체감의 결여는 역할혼란을 초래한다. 이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인의 역할을 수행해야만 하는 불행을 경험하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아정체감 [ego-identity, 自我正體感]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자아정체감 [ego-identity, 自我正體感]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