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좋은글

정신건강 (홍순정); 자기관리법들

Goldfish 2016. 10. 27. 06:37

정신건강 (홍순정)

 

자신을 성장시키고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은 건강하고 충만된 삶을 키워 가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도움이 되는 생활 속에서의 자기관리법들을 몇가지 살펴보기로 한다.

 

1. 자신의 주변과 계속 미루고 쌓여있는 미완성의 것들을 정리하자.

 

무엇인가를 하기로 결정하고 계획하고 시작하게 되면 그 일을 계속해서 끝내고 완성하면 다른 과제로 갈수 있다. 계획했던 일의 완성이 주는 성취감, 만족감, 기쁨 또한 크다. 자신감도 커지게 된다. 그러나 많은 경우 우리는 여러 일들을 계획하고 시작하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끝내지 못하고 유보상태로 두는 일들이 태반이다. 이렇게 우리 곁에 놓여진 일들은 우리의 에너지를 마구 빼앗아간다. 비생산적인 방법으로... 완성하지 못하는 이유를 생각해보고 완성하기위한 길을 찾도록 한다. 계획한대로 추진하거나, 아니면 그 일을 할 수 있는 누구에게 위임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적절한 기간 동안 미루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니면 아예 버리는 방법이다. 이 네 가지 방법 중 어느 것이 자신의 미완성 과제에 적절한지 생각해보고 조치할 일이다. 그래서 새로운 일을 위한 심리적, 물리적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다시 새로운 일에 들어가기 전에 미완성의 일들을 완성하기위한 방법들을 보기로 한다.

3개월 마다 다음의 주요 미완성 일들을 정리하는 것이 좋다.

 

1. 이전의 사업 활동

2. 지키지 않고, 인정하지 않고, 재조정하지 않은 약속들

3.

4. 입지 않는 옷으로 넘쳐나는 옷장

5. 낡은 것들로 꽉 찬 정리 안 된 창고

6. 정리 안 된 세금 고지서

7. 마감해야할 고지서와 은행일들

8. 사용할 수 없는 것들로 가득 찬 서랍들

9. 없어지고 변질된 열정들

10. 사용하지 않은 것들로 가득 찬 다락

11. 쓰레기로 가득 찬 차 트렁크

12. 끝내지 않은 차 수리

13. 버린 것들로 가득 찬 정리 안 된 지하실

14. 완성된 또는 실천 안 된 프로젝트 상자

15. 실행 안 된 채 남겨진 파일

16. 저장되어야할 컴퓨터 파일 등

17. 정리 안 된 책상

18. 앨범에 넣지 않은 가족사진들

19. 수리하거나 버려야할 것들 다 수리, 다림, 정리 등등

20. 미루어둔 집수리

21. 말하지 않은 후회, 또는 감사 등의 개인적 관계를

22. 용서해야할 사람들

23. 함께 해야 할 사람들과 보내지 못한 시간

24. 미완성 과제 또는 해결이나 피드백 없이 전달된 과제들

25. 해주거나, 요청해야할 인정

 

우리 일상에서 무엇이 우리의 신경을 쓰이게 하는지 생각해보자. 매일 신경 쓰이는 것들이 우리의 주의집중을 뺏어가고 성취와 성공에 부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혼자 어려울 때는 정리전문가의 도움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다.

 

2. 미래를 환영하고 과거를 완료하자.

 

우리의 과거를 바꿀 수는 없으나 미래를 바꿀 수는 있다. 잊기 어려운 많은 일들을 정리하고 앞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진심으로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필요하다면 용서를 바라고 용서를 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용서의 단계와 목록들을 만들고 용서를 확인하는 것도 앞으로 나가기위해 필요한 일들일 것이다.

 

3. 잘 안되는 일에 직면하라

 

우리는 우리에게 불편함을 주는 일, 불쾌한일, 원하는대로 되지 않는 일들은 피하고만 싶다. 그러나 그러한 것을 무시한다고 해서 사실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런 일 들을 바로 앞에 놓고 어떻게 할지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우리의 가치에 따라 해결하려한다면 길이 있을 터이며 몸과 마음이 한층 가벼워 질 것이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기회를 취할 때만 향상된다. 어쩌면 우리가 취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모험은 자신에게 정직해지는 일일지도 모른다. 주변에서 보이는 경고의 사인들을 기억하고 무엇인가를 추진할 때인지 포기할 때인지 생각하도록 한다. 부인하고 회피하는 것의 기저에는 두려움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어떠한 방향이든 행동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올바른 일이라고 판단했다면 지금 행동을 취하라.

 

4. 변화를 환영하라.

 

성장 아니면 죽음과 다를 게 없다.

성장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생각한다.

변화를 환영하는 법에 익수해지자.

 

5. 우리의 내적 비판을 내적 코치로 전환하라.

 

사람은 그가 생각하는 바로 그 존재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부족함과 한계도 우리의 모습이기에 우리의 한계에 대해 논쟁하고 이의 극복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스스로 걱정하여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너 자신에게 승리자처럼 말하라.

나는 그런 애야 등과 같은 자포자기나 한정된 생각들을 근절하라.

항상 또는 결코 ~ 할 수 없다 등의 사고에서 벗어난다. 또한 부정적 측면에 집중 하는 것, 최악의 시나리오만을 예상 하는 것, 다른 사람의 마음 미리 짐작하는 일, 죄의식에 걸려 넘어지는 것에서 벗어나자. 무언가 해야만 한다고 느끼면 이내 우리는 그에 대한 내적 저항을 만들게 된다. 죄의식은 결코 생산적이지 못하다. 이런 정서를 없애자.

이름 붙이기 (Labeling)를 활용하자.

- 바보, 무책임, 등등 대신, 스마트, 뛰어남 등의 용어를 사용한다. 모든 의미는 스스로 창조한 것임을 기억하자.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그러나 이때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해 잘못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음을 유의 할 필요가 있다.

내면의 비판을 내면의 코치로 전환하자. 스스로 한 비판이라도 대책없는 비판은 마음의 상처를 주기도 한다. 그러나 이를 자신을 변화시키는 코치의 역할로 전환한다면 도움이 된다.

 

6. 일년에 적어도 4개의 새로운 성공 습관, 좋은 습관, 자신을 키울 수 있는 습관을 개발하자.

 

좋던 나쁘던 습관은 언제나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좋은 습관을 개발하도록 노력한다.

새로운 성공 습관을 통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생각한다.

 

7. 더 크기 위해 더 배우자.

 

우리가 더 이상 배우지 않는다면 우리의 존재는 성장을 멈출 것이다. 극단적으로 표현한다면 끝난 것이다. 배우기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되는 일들을 생각해보자.

 

TV시간 줄일 것

지도자는 독서자이다. Leaders are Readers. 언제나 책을 읽자.

더 많이 읽기 위해 빨리 읽는 방법을 익히는 것도 도움이 된다.

주 단위 체제로 생활 계획을 세워본다.

위대한 사람들의 생활 연구한다.

자신이 관심이 있는 성공 모임, 컨퍼런스, 재교육 등에 참여 한다.

가르침을 받을 준비 상태를 유지하자. 우리가 겸손할 때 더 잘 배울 수 있다.

기회가 왔을 때 준비되어 있어라

준비되어 있기 위해 필요 한 것으로는 예를 들어 잠재력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일, 치료와 상담 기회를 갖는 일, 평생학습의 기회에 참여하는 일 등을 들 수 있다.

 

 

8. 시간을 재편성 해보자.

 

요즘 바쁘지 않은 사람이 있는가? 누구나 바쁘다. 우리를 둘러싼 이런 회오리 속에서 자신의 중심을 지키고 몸과 마음의 여유를 갖기란 그리 쉽지 않다. 기왕에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바쁜 시대라면 우리가 하고 싶은 공부를 하면서, 우리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있는 희망의 빛을 찾아서, 꿈을 향해가는 일을 하면서 바쁜 게 더 낫지 않을까?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좀 더 자신의 리듬에 맞게 편성하고 지켜나간다면 의무적으로만 해야 했던 시간들에 대한 마음의 저항을 좀 줄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Focus days : 이날은 80%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는 날이다.

이런 포커스 데이를 더 많이 갖도록 계획하자.

Buffer days : 이날은 무엇인가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자유의 날이다.

새로운 것을 배우고, 자신을 지원해주는 팀들을 훈련하는 등의 일이다.

Free days : 모든 일로부터 자유로운 날이다. 세미나, 사업 전화, email, 전문 특허 등으로부터 자유롭다. 이러한 자유일에는 때로 자녀와도 따로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유의 날은 일을 더 열심히 하게 해 줄 것이다.

이 이외에도 휴가시간을 잘 활용 하는 일, 스케줄링을 효과적으로 하는 일 등이 도움이 된다.

 

9. 서로를 위한 성공 팀을 형성하자.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조금이다. 여럿이 함께 할 수 있는 일은 훨씬 많고 크다. 혼자서 하면 고된 일들이 함께하면 재밌고 즐거운 놀이가 되기도 한다. 공부에, 일에, 함께하는 작전을 충분히 활용 한다면 더 크고 보람 있는 일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를 키우는 보람도, 기쁨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10. 열정과 열심히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추진하자.

 

누구나 열정을 가지고 있는 일이 있고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열정을 그대로 유지하는 건 또 다른 문제이다. 열정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방법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자신의 핵심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매일의 일상에서 그것을 발전시키기 위한 일을 조금씩이라도 한다. 습관이 되도록 말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다보면 풍부한 많은 것들이 따라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