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보면 교재의 각 페이지가 힌트로 있습니다.

교재에 줄을 긋는것은 필수이지요!

줄을 그어서 몇년도 나왔는지도 같이 적어주면

중요도를 더 알수 있겠지요

학우님 나름으로 교재에 표시를 해주세요~

 

인간행동은 2012년에 개편되었므로 12~14년하계까지 기출문제풀이입니다.

그리고 기말과 계절범위가 4~15장 이었으므로 4장 부터 기출문제가 시작됩니다.

4장 정신분석적 이론

 

1. 인간 행동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의 설명은? <143학년 p.96>

인간은 백지 상태로 태어나 경험을 통해 행동을 습득한다.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별 질적 차이는 없다.

인간 행동의 기본구조는 발달초기에 거의 완성된다.

인간은 자아실현의 욕구를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

 

2. 정신분석이론과 거리가 것은? <14년 출석대체 p.96>

심리성적이론 정신결정론 행동의 예측과 통제 초기발달 강조

 

3. 프로이트의 성격 구조 중 논리, 사고, 추론을 담당하는 영역은? <14p.98>

자아 무의식 원초아 초자아

 

4. 프로이트가 설명하는 마음의 구조에서 원초아에 대한 설명은? <14년 출석대체 p.98>

일단 발생하면 맹목적으로 충족되길 원한다. 양심과 도덕의 원칙에 따라 작동한다.

교육과 경험을 통해 발달하는 영역이다. 합리적 사고를 통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담당한다.

 

5. 프로이트의 마음의 구조 모형에서 자아에 대한 설명은? <14년 하계 p.98-99>

현실의 제약을 고려하여 가능한 욕구 충족 방법을 계획한다.

외부세계와 철저히 분리된 원천적인 정신 에너지이다.

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내면화된 규범과 가치로 구성된다.

일단 발생하면 즉각적인 충족을 추구한다.

 

6. 프로이트가 설명하는 마음의 구조에서 초자아의 성격에 가장 가까운 것은? <15년 하계 p.99>

성적 욕구 도덕과 양심 이성과 사고 물리적 폭력

 

7.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4년 출석대체 p.103>

이성 부모의 사랑을 갈망하고 동성 부모를 사랑의 경쟁자로 보는 것

성인 사회의 부패와 부조리에 염증을 느끼는 것

부모의 애정을 놓고 형제자매와 서로 경쟁하는 것

또래 이성 친구에 대한 호기심과 성적 욕구가 급증하는 것

 

8. 남근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4p.103>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리비도의 충족이 주로 구강부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생식기를 자극하여 쾌감을 얻으려 한다. 리비도가 잠복하는 시기로 학업성취에 몰두한다.

 

9. 인간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5년 하계 p.103>

영유아기에 성격의 기본구조가 결정된다. 인간은 선천적으로 선한 존재로 태어난다.

강화자극을 통해 어떤 행동이든 훈련시킬 수 있다. 성격은 다양한 행동의 누적일 뿐이다.

 

10. 프로이트의 발달단계 중 남근기와 관계 깊은 것은? <15년 하계 p.103>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대극 페르소나 조절과 동화

 

11. 아들러는 인간 행동의 주요 동기를 무엇이라고 설명하는가? <14p.111>

지적 욕구 보상 추구 성적 욕구 우월성 추구

 

12. 아들러 이론에서 인간행동의 추동 원인은 무엇인가? <14년 하계 p.111>

리비도 우월추구 동기 외적 보상 모델링 대상

 

13. 인간행동에 대한 아들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43학년 p.116>

인간 행동을 자극과 반응의 법칙적 관계로 간주하였다.

인간 행동은 근원적인 에너지를 성적 욕구로 보았다.

인간의 일생 중 초기 발달 시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인간은 백지상태로 태어난다고 보았다.

 

14. 융이 설명하는 정신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43학년 p.119>

정신에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창조와 자율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정신은 무의식의 영역에 존재한다. 성욕과 파괴의 욕구에 의해 좌우된다.

 

15. 인간 행동 발달에 대한 융의 설명과 가장 가까운 것은? <14년 출석대체 p.120>

인간을 성욕과 공격욕구에 좌우되는 존재로 규정하였다.

출생 순위에 따른 성격적 특징의 차이를 강조하였다.

민족은 조상 대대로의 경험이 축적된 집단 무의식을 공유한다.

유전이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였다.

 

16. 융의 이론에서 집단의 사람들 대부분이 공유하고 있는 선험적, 근본적, 집단적 심상을 가리키는 개념은? <14년 하계 p.120>

콤플렉스 원형 그림자 리비도

 

17.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그림자를 설명한 것은? <143학년 p.121>

남성이 지닌 여성적 측면 양심과 초자아의 목소리

중요한 타인을 내면에 동일시한 것 인간이 지닌 동물적인 측면

 

18. 융의 이론 중에서 페르소나가 가리키는 것은? 3 <15년 하계 p.122>

민족이 공유하는 공통의 기억 무의식 속에 억압된 욕구

사회적 상황에서 드러내 보이는 자신 행동의 표준이 되는 동일시 대상

 

19.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공통점은? <15년 하계 p.128>

어린 시절의 양육 환경을 강조한다. 인간 행동의 원천적인 에너지를 동물적 욕구로 설명한다.

인간 행동을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설명하였다. 인지능력에 따라 인간의 발달단계를 구분하였다.

 

20.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공통점은? <14년 하계 p.128>

인간은 사회에 공헌하려는 이타심을 가지고 태어난다.

인간 행동은 자극과 반응 사이의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

양육자와의 경험이 일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정신병리보다는 행복과 건전한 성격에 관심을 가졌다.

 

 

4장 정신분석적 이론

`

`

1. 인간 행동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의 설명은? 3 <143학년 p.96>

인간은 백지 상태로 태어나 경험을 통해 행동을 습득한다.

연령에 따른 발달단계별 질적 차이는 없다.

인간 행동의 기본구조는 발달초기에 거의 완성된다.

인간은 자아실현의 욕구를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

`

`

2. 정신분석이론과 거리가 것은? 3 <14년 출석대체 p.96>

심리성적이론

정신결정론

행동의 예측과 통제

초기발달 강조

`

`

3. 프로이트의 성격 구조 중 논리, 사고, 추론을 담당하는 영역은? 1 <14p.98>

자아 무의식

원초아 초자아

`

`

4. 프로이트가 설명하는 마음의 구조에서 원초아에 대한 설명은? 1 <14년 출석대체 p.98>

일단 발생하면 맹목적으로 충족되길 원한다.

양심과 도덕의 원칙에 따라 작동한다.

교육과 경험을 통해 발달하는 영역이다.

합리적 사고를 통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담당한다.

`

`

5. 프로이트의 마음의 구조 모형에서 자아에 대한 설명은? 1 <14년 하계 p.98-99>

현실의 제약을 고려하여 가능한 욕구 충족 방법을 계획한다.

외부세계와 철저히 분리된 원천적인 정신 에너지이다.

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내면화된 규범과 가치로 구성된다.

일단 발생하면 즉각적인 충족을 추구한다.

`

`

6. 프로이트가 설명하는 마음의 구조에서 초자아의 성격에 가장 가까운 것은? 2 <15년 하계 p.99>

성적 욕구 도덕과 양심

이성과 사고 물리적 폭력

`

`

7.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14년 출석대체 p.103>

이성 부모의 사랑을 갈망하고 동성 부모를 사랑의 경쟁자로 보는 것

성인 사회의 부패와 부조리에 염증을 느끼는 것

부모의 애정을 놓고 형제자매와 서로 경쟁하는 것

또래 이성 친구에 대한 호기심과 성적 욕구가 급증하는 것

`

`

8. 남근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14p.103>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리비도의 충족이 주로 구강부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생식기를 자극하여 쾌감을 얻으려 한다.

리비도가 잠복하는 시기로 학업성취에 몰두한다.

`

`

9. 인간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5년 하계 p.103>

영유아기에 성격의 기본구조가 결정된다.

인간은 선천적으로 선한 존재로 태어난다.

강화자극을 통해 어떤 행동이든 훈련시킬 수 있다.

성격은 다양한 행동의 누적일 뿐이다.

`

`

10. 프로이트의 발달단계 중 남근기와 관계 깊은 것은? 1 <15년 하계 p.103>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대극

페르소나

조절과 동화

`

`

11. 아들러는 인간 행동의 주요 동기를 무엇이라고 설명하는가? 4 <14p.111>

지적 욕구 보상 추구

성적 욕구 우월성 추구

12. 아들러 이론에서 인간행동의 추동 원인은 무엇인가? 1 <14년 하계 p.111>

리비도 우월추구 동기

외적 보상 모델링 대상

`

`

13. 인간행동에 대한 아들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3 <143학년 p.116>

인간 행동을 자극과 반응의 법칙적 관계로 간주하였다.

인간 행동은 근원적인 에너지를 성적 욕구로 보았다.

인간의 일생 중 초기 발달 시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인간은 백지상태로 태어난다고 보았다.

`

`

14. 융이 설명하는 정신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 <143학년 p.119>

정신에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창조와 자율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정신은 무의식의 영역에 존재한다.

성욕과 파괴의 욕구에 의해 좌우된다.

`

`

15. 인간 행동 발달에 대한 융의 설명과 가장 가까운 것은? 3 <14년 출석대체 p.120>

인간을 성욕과 공격욕구에 좌우되는 존재로 규정하였다.

출생 순위에 따른 성격적 특징의 차이를 강조하였다.

민족은 조상 대대로의 경험이 축적된 집단 무의식을 공유한다.

유전이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였다.

`

`

16. 융의 이론에서 집단의 사람들 대부분이 공유하고 있는 선험적, 근본적, 집단적 심상을 가리키는 개념은? 2 <14년 하계 p.120>

콤플렉스 원형

그림자 리비도

`

`

17. 융의 분석심리학에서 그림자를 설명한 것은? 4 <143학년 p.121>

남성이 지닌 여성적 측면

양심과 초자아의 목소리

중요한 타인을 내면에 동일시한 것

인간이 지닌 동물적인 측면

`

`

18. 융의 이론 중에서 페르소나가 가리키는 것은? 3 <15년 하계 p.122>

민족이 공유하는 공통의 기억

무의식 속에 억압된 욕구

사회적 상황에서 드러내 보이는 자신

행동의 표준이 되는 동일시 대상

`

`

19.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공통점은? 1 <15년 하계 p.128>

어린 시절의 양육 환경을 강조한다.

인간 행동의 원천적인 에너지를 동물적 욕구로 설명한다.

인간 행동을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설명하였다.

인지능력에 따라 인간의 발달단계를 구분하였다.

`

`

20.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공통점은? 3 <14년 하계 p.128>

인간은 사회에 공헌하려는 이타심을 가지고 태어난다.

인간 행동은 자극과 반응 사이의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

양육자와의 경험이 일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정신병리보다는 행복과 건전한 성격에 관심을 가졌다.

 

'한국방송통신대학 >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교육론] 1장  (0) 2015.09.04
[교육심리학] 1장  (0) 2015.09.04
Posted by Goldfis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