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haeconomy.com/News.aha?method=newsView&n_id=11942&cid=37&pid=4
피라미드 토론으로 생각의 폭을 넓혀 보자
[자료] 도서에서 알아보기
피라미드 토론이란?
피라미드 토론은 어떤 하나의 주제 질문에 관해 참여하는 모든 사람의 의견을 점차 줄여가면서 최종적으로 가장 우수한 의견을 선택하는 참여식 토의 토론 방식이다.
토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참여하는 모두가 의견을 내고, 최종적인 하나의 의견만이 남도록 피라미드의 제일 위 꼭짓점에 가는 것처럼 의견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에 피라미드 토론이라고 한다.
그래서 피라미드 토론은 2인의 소집단 토론에서 시작해 학급 전체인 대집단 토론으로 확산되면서 자신이 제시한 의견이 최종적으로 선택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논리적으로 설득하게 된다.
피라미드 토론에서는 모든 학생이 메모지에 자신의 의견을 적기에 모든 학생이 자신의 생각을 발표할 참여 기회를 갖고, 이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의 의견을 모아 자연스럽게 하나의 의사결정으로 수렴하기에 재미있고, 역동적인 토론 형태다.
.jpg)
피라미드 토의·토론 방식은 주어진 주제에 관해 각자의 의견을 자신의 카드(의견 제시 개수에 따라 카드는 모두가 하나만 쓸 수도 있고, 많을 경우 의견을 각자 다섯 개쯤 적을 수 있다)에 기입한 다음 다른 사람과 1:1로 토론과 토의과정을 거쳐 카드의 매수를 압축하고, 다시 다른 팀과 2:2, 4:4, 8:8, 16:16으로 만나 토론을 거쳐 최종 합의를 이뤄 나가는 방법이다.
<출처: 송창석, 새로운 민주시민교육 방법, 백산서당, 2011.>
피라미드 토론, 어떻게 해 볼까요?
1. 제시된 주제와 관련된 질문에 관해 각자 세 가지를 메모지에 적는다. 작성한 내용은 낱말 하나여도 되고 문장이어도 괜찮다.
2. 각자 기록한 세 가지를 갖고 옆에 앉은 사람과 1대 1로 짝을 이루면 여섯 장이 될 것이다.
3. 작성한 내용 가운데는 같은 내용도 있을 것이고 같은 내용이라도 표현을 달리한 것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대방과 토론과 토의를 해서 이들 카드 여섯 장을 세 장으로 줄인다. 줄이는 과정에서 짝에게 자신이 적은 것을 보여주면서 왜 자신이 적은 것이 주제와 관련된 것인지 설명해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며 자기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표현하고, 대화로써 설득한다.
4. 이런 과정을 거쳐 2+2, 4+4, 8+8로 확장하면서 점차 카드를 압축해 간다.
5. 전체 참가자가 두 모둠으로 나뉠 때까지 토론을 하고 나서 마지막으로 정리한다.
6. 두 팀의 내용을 놓고 전체가 모인 자리에서 마지막 합의를 거쳐 완성된 의견을 모은다.
피라미드 토론, 다음 사례로 알아볼까요?

[예시문제]
※ 위에 제시된 내용과 활동 순서를 보고 여덟 명이 모여 ‘즐거운 경제교육을 위해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란 주제로 토의·토론하고 한 가지 안을 만들어 보세요.

'From >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응 (0) | 2015.06.03 |
---|---|
주지주의 (0) | 2015.06.03 |
키케로주의 (0) | 2015.06.03 |
직소(Jigsaw)토론 (0) | 2015.05.23 |
제이컵 닐슨의 1:9:90의 법칙 (0) | 2015.03.30 |